폐광지역 환경 개선과 경제 성장의 새로운 가능성!
2024 폐광지역 신활력 대상의 제정 배경
2024 폐광지역 신활력 대상은 강원도민일보사가 창간 32주년을 기념하여 제정된 상이다. 이 상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사회에 기여한 기관, 단체, 개인을 격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강원랜드의 후원으로 시행되며, 목적은 폐광지역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증진시키는 것이다. 올해 첫 수상 기관들은 태백, 정선, 영월, 삼척 등의 폐광지역에서 활동하며, 경제, 사회, 문화, 봉사 분야에 이바지한 기관 및 개인들이다. 자치단체장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이들은 각자의 분야에서 독창적인 활동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이 상의 수여는 지역 주민들에게 긍정적인 모델을 제공하고, 폐광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지속적인 지원과 격려가 지역 사회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경제 부문 수상 기관: 영월 더존
영월의 더존은 폐광지역 경제를 지원하는 핵심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2009년 설립된 더존은 인조암 패널 및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고 있으며, 옹벽 및 사면 보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특히 이 기업의 강점은 보유하고 있는 특허 기술로, 이를 통해 여러 자재를 생산하는 능력에 있다. 더존은 창의적인 설계와 환경 친화적인 재료 사용으로 지역 인프라 보수에 기여한다. 품질경영 및 안전관리에 대한 인증도 받았으며, 연구개발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비용 절감과 환경 개선에 힘쓰고 있다. 정쌍영 대표는 기술 고도화와 신시장을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지역 사회와 함께 성장하겠다는 의지를 비췄다. 이러한 노력은 폐광지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더존은 환경에 대한 가치를 우선시하는 기업이다.
- 주요 제품으로는 인조암 패널과 콘크리트 블록이 있다.
- 연구개발을 통해 지역 경제와 환경 개선에 이바지하고 있다.
사회 부문 수상 기관: 정선 지역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
정선의 지역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는 주민과 함께 폐광지역의 지속 발전을 모색해온 단체이다. 1989년 정부의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의 결과로 폐광이 시작되면서, 고한과 사북의 단체 대표 13명이 1993년에 지역살리기 공추위를 결성하였다. 이들은 주민 생존권을 확보하기 위해 정부에 대항하는 궐기대회를 벌였으며, 이를 통해 1995년에 폐광지역 특별법 제정을 이끌어냈다. 강원랜드는 이러한 법을 근거로 설립되었으며, 이후에도 정부의 카지노 정책에 맞서 주민 서명 운동과 항의 방문을 통해 폐광지역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활동을 계속해왔다. 공추위는 복지 재단 설립과 대체 산업 육성 촉구를 통해 지역 경제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으며, 폐특법 연장 관철을 위해 힘쓰고 있다.
봉사 부문 수상 기관: 한국자유총연맹 삼척시지회
한국자유총연맹 삼척시지회는 지역 사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봉사활동을 포함하여 안전생활 운동을 진행하며 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고 있다. 자율적인 봉사활동을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복지 사회 구현에 기여하는데 앞장서고 있으며, 주요 활동으로는 1회용품 줄이기, 어린이 보호구역 안전 캠페인, 그리고 자연재해 시 앞장서는 봉사활동 등이 있다. 유재용 삼척시지회장은 지역 발전을 위한 활동을 더욱 확대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은 지역 사회의 복지와 질서를 더욱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 부문 수상 기관: 김재영 탄광역사문화기록자
김재영은 탄광역사의 보존과 기록에 큰 기여를 해온 인물이다. 1980년대부터 태백 및 주변 폐광지역의 역사와 탄광부 생활상을 기록하고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사료들은 전국적으로도 귀중한 자료로 여겨진다. 그는 다양한 사진전을 통해 석탄 산업의 역사를 알리고 있으며, 관련 사료를 공익적으로 전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재 보유한 탄광 관련 사료는 1만여 점이 넘는다고 하며, 김삼영은 앞으로도 우리나라 탄광의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의 활동은 지역 주민들에게 소중한 문화유산을 제공하고, 젊은 세대에게는 역사적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미래의 기대와 지속 가능성
신활력 대상 수상을 통해 폐광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이 기대된다. 이번 제정된 상은 지역 경제와 사회를 활성화하고 주민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다. 수상 기관들의 다양한 활동은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며, 주민들의 참여와 지원을 통해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러한 노력은 폐광지역의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지역 사회와 함께 하는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시스템과 정책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지자체의 지원과 주민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지역 발전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구축될 수 있도록 각 주체가 함께 힘을 모아야겠다.
지역사회의 반응과 수상 의미
지역 사회는 이번 신활력 대상 제정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많은 주민들이 수상기관들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큰 기대를 가지며, 지역 발전과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니셔티브를 격려하고 있다. 수상 기관들의 활동은 지역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으며, 폐광지역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기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의 제정은 지역 사회에 대한 애정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그 결과로 가능한 긍정적인 변화들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도 이들의 지속적인 노력과 협력이 필요하며, 지역 사회는 이를 위해 더욱 단결할 필요가 있다.
폐광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노력
폐광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위하여 여러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특히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환경을 개선하고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필요하다. 지역 기관들은 주민들과 협력하여 신규 산업 육성 및 인프라 개선 작업을 추진해야 한다. 환경 교육과 지역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들이 이뤄져야 하며, 이를 통해 지역 경제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혁신도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폐광지역은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어낼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 주민, 기업, 그리고 정부가 함께 참여하여 폐광지역의 새로운 미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결론: 폐광지역의 새로운 전환점
2024 폐광지역 신활력 대상은 지역 사회에 긍정적인 전환점을 제공하고 있다. 여러 기관과 개인들의 지속적인 노력은 폐광지역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이끈다. 그 결과, 지역 주민들은 보다 나은 삶의 질을 경험하게 되며, 폐광지역은 지속 가능한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커진다. 지역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가 협력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야 하며, 이러한 상은 그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앞으로 추가적인 지원과 더불어, 주민들의 참여가 더욱 증대되기를 기대한다.
한국 민주주의 위기 숏텐츠
질문 1. 2024 폐광지역 신활력 대상은 무엇인가요?
2024 폐광지역 신활력 대상은 강원도민일보사가 창간 32주년을 맞아 제정한 상으로, 지역 경제를 견인하고 사회에 공헌한 기관·단체 및 개인의 활동을 격려하고 선양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질문 2. 올해 수상자는 어떤 기관과 개인들인가요?
올해 수상자는 태백, 정선, 영월, 삼척 등 도내 폐광지역에서 경제, 사회, 문화, 봉사 분야에서 활동하여 지역 사회 발전을 이끈 개인 및 단체입니다.
질문 3. '더존'의 경제적 기여는 무엇인가요?
'더존'은 영월 지역의 인조암 패널과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는 회사로, 폐업한 광업소의 대체 산업으로 지역 경제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기술력과 환경 친화적인 재료 사용으로 지역 인프라 보수 비용을 낮추고 있습니다.
질문 4. 사회 부문 수상자인 정선 지역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의 주요 성과는 무엇인가요?
정선 지역살리기 공동추진위원회는 1995년 폐광지역특별법 제정을 이끌어내고, 폐광 이후 주민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왔습니다. 폐특법 연장 등 지역 주민의 지지를 받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질문 5. 한국자유총연맹 삼척시지회의 봉사 활동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
한국자유총연맹 삼척시지회는 코로나19 예방 봉사활동,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 예방 캠페인 등 다양한 지역 봉사활동을 통해 안전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고, 복지사회를 구현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질문 6. 김재영 탄광역사문화기록자는 어떤 기여를 하고 있나요?
김재영 탄광역사문화기록자는 1980년대부터 탄광 관련 역사와 생활상을 기록하며, 이를 보존하고 알리는 활동을 지속해오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진전과 전시회를 통해 탄광의 역사적 가치를 홍보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