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농업 청년 유입의 새로운 가능성 열리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 정책 방향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 식량안보 강화, 농업인 소득 및 경영 안정, 농촌소멸 대응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과 농촌인구의 감소, 고령화 등 여러 우려 속에서도 농식품부는 이러한 위기를 새로운 기회로 탈바꿈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혁신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농정으로 전환하기 위해 스마튼 농업을 포함한 신산업 육성을 통해 청년층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으며, 농업직불 예산을 대폭 확대하여 안정적인 농업 환경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통해 농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농업인이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환경 조성을 최우선의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농촌 공간 재구조화 사업
농촌 공간의 재구조화는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 주민의 생활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농촌특화지구를 지정하여 주거, 산업, 관광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의 발전전략을 자율적으로 설정하는 자율규제혁신지구와 같은 새로운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농촌 지역에 주민을 유입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아울러 빈집 재생 프로젝트와 농촌체류형 쉼터 등의 다양한 사업을 통해 도시민과 농촌민 간의 상생적인 관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 농촌특화지구의 기능별 재구조화
- 농촌체류형 쉼터 정책 개발
- 빈집 재생 프로젝트 추진
전략작물직불제 도입과 확대
2023년부터 도입된 전략작물직불제는 농업인들이 전략작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돕는 중대한 정책입니다. 이 제도는 기본형 공익직불금에 추가하여, 밀, 콩, 가루쌀 등 수입의존도가 높은 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을 위한 선택형 직불금으로 지원됩니다. 이를 통해 쌀 수급의 안정과 함께 논 이용률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2023년에는 1121억 원, 2024년에는 1865억 원으로 지원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국제 정세의 불안 속에서도 안정적인 식량 생산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농업인의 소득을 보장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합니다.
K-농업 해외전파 계획
K-농업 해외전파를 위한 첫 단계로 K-라이스벨트 구축을 통해 쌀이 부족한 아프리카 개발도상국에 다수확 종자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식량원조 규모를 기존 대비 2배로 확대하여 대한민국의 국격을 한 단계 높이는 중요한 사업입니다. 14개국이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아프리카 6개국에서 다수확 벼 종자 2321톤을 수확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이러한 식량 원조 사업은 글로벌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K-푸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K-푸드가 국제 무대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식품 수출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 전략
2023년 식품 수출액 | 작년 대비 증가율 | 전망 |
81억 9000만 달러 | 8.9% | 지속적인 성장 예상 |
전통 식품 수출 확대 | 스마트팜 계약 체결 | K-푸드의 글로벌 진출 |
농식품 수출은 2023년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한 가운데, 해외 유통 매장 입점 확대를 위해 바이어 초청 상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K-푸드 플러스 산업을 국가 10대 수출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K-Food+ 수출 혁신 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시장에서 K-푸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방향입니다. 앞으로도 식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다양한 지원과 제도를 마련할 계획입니다.
민생지원체계의 강화와 피해 농가 지원
농식품부는 민생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농가소득과 경영안전망 강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농업 직불제를 전면 개편하여 공익직불제를 도입한 후, 기본직불금 단가와 지원면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탄소 프로그램과 친환경직불 지원체계를 개선하여 농업인의 공익활동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농업 수입안정보험은 2025년까지 15개 품목으로 확대하여 농가 수입을 보장할 예정입니다. 이는 자연 재해 및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농촌소멸 대응 프로그램
농촌소멸 우려가 커짐에 따라 농촌 자원의 잠재능력을 극대화하고 청년과 기업이 농촌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농촌소멸 대응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사람과 일자리를 유인하기 위해 농촌공간계획을 도입했습니다. 이 제도는 지역 주민이 스스로 발전 전략을 세우고 농촌의 공간을 창의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농촌 빈집 활용을 높이고 기업과 지자체가 합동으로 빈집 재생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다양한 인구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입니다.
스마트 농업 기술의 도입과 확산
스마트농업 기술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고품질 농산물 공급을 안정적으로 지속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정부는 스마트농업을 2027년까지 온실의 30%와 축사의 40%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스마트농업법을 통해 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농업 관련 기업과 전문인력의 육성을 통해 민간 중심의 혁신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농업인의 소득을 높이고, 세대 간의 기술 연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향후 정책 전개 및 계획
농식품부는 농업과 농촌의 구조개혁을 완수하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실시할 계획입니다. 농촌이 농사만 짓는 곳이 아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규제를 완화하고, 스마트농업을 현장에 도입하여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거듭나게 할 것입니다. 기후변화와 국제 공급망의 불안정으로부터 국민들에게 안정적인 먹거리를 제공하기 위해, 체계적인 수급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농업인들의 소득과 경영 안정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입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농식품부의 주요 정책 방향은 무엇인가요?
농식품부는 디지털, 세대, 공간의 3대 농정 전환을 통해 농업의 미래 성장산업화를 추진하며, 식량안보 강화, 농업인 소득 및 경영 안정, 농촌소멸 대응 등을 목표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K-푸드의 성과와 향후 계획은 무엇인가요?
K-푸드는 글로벌 인지도가 상승하며, 수출 실적이 역대 최대치를 달성했습니다. 향후, 농식품부는 K-푸드의 해외 유통채널 확대를 위해 바이어 초청 상담회 및 판촉 활동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농촌소멸에 대한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요?
농촌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농촌의 창의적 공간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 발전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농촌 주민과 청년들을 유인하고 있습니다.